절세의 신 │ tax-save.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절세의 신 │ tax-save.com

메뉴 리스트

  • 종합소득세
  • 귀속 경비율
  • 부가가치세
  • 양도소득세
  • 분류 전체보기
    • 종합소득세
    • 부가가치세
    • 양도소득세
    • 세상 이슈
    • 일상 꿀팁

검색 레이어

절세의 신 │ tax-save.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종합소득세

  • 업종코드별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2022년 기준)

    2022.02.08 by Marigold

  •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의 차이

    2022.02.06 by Marigold

  • 계속사업자 간편장부와 복식장부 및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2022.02.06 by Marigold

  • 종합소득세 가산세 (2022년 기준)

    2022.02.05 by Marigold

  • 종합소득세 세액공제 (2022년 기준)

    2022.02.05 by Marigold

  •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2022년 기준)

    2022.02.04 by Marigold

  • 종합소득세 연금소득 종합과세? 분리과세?

    2022.02.03 by Marigold

  • 종합소득세 금융소득 종합과세? 분리과세?

    2022.02.03 by Marigold

업종코드별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2022년 기준)

노란박스에서 업종코드를 입력하여 검색하세요. 이 색상의 업종명은 클릭하시면 절세전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업종코드 업종명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일반율 초과율 011001 농업 / 채소작물재배 93.5 8.1 011002 농업 / 화훼작물재배 93. 6.3 011003 농업 / 종자 및 묘목생산 93.5 9.0 011004 농업 / 과실작물재배 93.5 6.3 011005 농업 / 음료 및 향식작물재배 93.5 9.0 011005 농업 / 기타 작물재배 93.5 9.0 011007 농업 / 콩나물 재배 93.5 9.0 011008 농업 / 채소, 화훼 및 과실작물시설재배 93.5 9.0 011009 농업 / 기타 시설작물재배 93.5 6.3 업종코드 업종명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일반율 초과율 01210..

종합소득세 2022. 2. 8. 21:45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의 차이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은, 사업소득이 있는 사람이 장부를 작성하지 않았을 때, 경비를 추측하여 적용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경비로 인정되는 비율의 차이는 현격합니다. 그럼 무엇을 적용하는 것이 사업자에게 유리할까요? 지금부터 개념적 차이부터 실무적 적용까지 모두 알아보도록 하죠.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개념 차이 사업자는 수입과 비용을 장부에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장부작성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지 몰라서' 혹은 '의무는 알고 있지만 작성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여 고의로' 장부를 작성하지 않는 사업자들이 있습니다. 이때 들어간 비용을 추측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입니다. 단순경비율은 용어에서 느껴지듯이 단순하게 경비를 추측하는 경비율..

종합소득세 2022. 2. 6. 23:54

계속사업자 간편장부와 복식장부 및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종합소득세 납부 측면을 고려할 때, 계속사업자가 신규사업자보다 훨씬 불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장부작성을 하지 않았을 때, 단순경비율이 적용되려면 일정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오늘은 계속사업자의 장부 작성의무와, 장부를 작성하지 않았을 때 적용되는 경비율과 절세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계속사업자 장부작성 의무 신규사업자로 인정받아서 장부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은 '사업을 개시한 당해연도 12월 31일'까지입니다. 따라서 사업을 개시한 후 해가 바뀐 경우, 계속 사업자로 변경되기 때문에 장부를 꼭 작성하셔야 합니다. 물론, 사업 수입이, 법률에 정해져 있는 일정 금액을 넘지 않는 경우, 장부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법률에 정해놓은 금액은 매우 적어서, 웬만한 사업자는 법률에 정해져 있는 금액..

종합소득세 2022. 2. 6. 05:42

종합소득세 가산세 (2022년 기준)

종합소득세 가산세의 종류는 매우 많습니다. 그 내용을 모두 정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대부분 정리를 하는 것은 노력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우리가 꼭 알아야 한 종합소득세 가산세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죠. 가산세만 숙지하시면 여러분들도 이제 종합소득세 계산 가능해집니다. 무신고 가산세 무신고 가산세란 말 그대로 신고하지 않을 때 부과되는 가산세입니다.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납부세액의 20%와 수입금액의 0.07% 중 큰 것을 가산세로 부과됩니다. 복식장부의무자가 간편 장부로 신고한 경우와 외부조정 대상자가 세무사나 회계사를 통하지 않고 본인이 세무조정을 하여 신고하는 경우에도 무신고로 간주하여 가산세 대상이 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고를 하시더라도 고의로 매출을 누락하거나 경비를..

종합소득세 2022. 2. 5. 03:03

종합소득세 세액공제 (2022년 기준)

세액공제와 소득공제는 다릅니다. 납세할 세금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공제가 세액공제보다 훨씬 크지만,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는 공제를 모두 받으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받을 수 있는 공제 모두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꼼꼼히 읽으셔서 최대한 많은 세액공제를 받으세요. 세액 공제 개념 세액공제는 산출세액을 구한 후에 빼주기 때문에 과세표준에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이와 반대로 소득공제는 소득금액에서 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과세표준에 영향을 주고, 이로 인해 세율에게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으신 분들은 소득공제에 대해 잘 모르셔서 그렇습니다. 아래 글을 읽고 돌아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2022년 기준) 종합소득세에서 ..

종합소득세 2022. 2. 5. 00:57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2022년 기준)

종합소득세에서 소득공제는 과세표준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대한 많이 줄여야 합니다. 특히 과세표준이 세율변경 경계선에 있는 경우 소득공제 한 번으로 몇백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럼 종합소득세의 소득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개념 소득공제는 과세표준에 영향을 주는 공제액입니다. 따라서 과세표준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세액공제와 개념을 확실히 구분하셔야 합니다. 소득공제는 과세표준의 수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과세표준에 영향을 받는 세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종합소득이 1,300만 원 일 때, 소득공제 100만 원을 받는 경우 과세표준이 1,200만 원이 되기 때문에 세율은 15%에서 6%로 변경이 됩니다. 소득공제를 받지 않은 ..

종합소득세 2022. 2. 4. 03:56

종합소득세 연금소득 종합과세? 분리과세?

연금소득은 2002년 1월 1일 이후 납입분만 소득세 대상이 됩니다. 소득세 대상이 되는 경우, 원천징수되지만, 예납적 원천징수이기 때문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소득이 연금만 있는 경우 연말정산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사적연금의 경우 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집중해서 읽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연금 소득 종류와 개념 연금소득은 크게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적연금은 국가가 강제로 가입하게 하여 납입하게 하고 나중에 연금 형식으로 돌려주는 연금이고, 사적연금은 개인의 자유 의지에 따라서 내고 싶은 만큼 납입하고, 납입한 만큼 연금 형식으로 돌려받는 연금입니다. 가입방식의 차이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과세의 형태와 과세 방식도 달라지게 ..

종합소득세 2022. 2. 3. 04:53

종합소득세 금융소득 종합과세? 분리과세?

금융소득세는 종합 과세되는 소득 중에 내용이 가장 어렵습니다. 조금은 집중하셔야 금융소득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크게 걱정하지 마세요. 최대한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금융소득 종류 및 개념 "금융소득은 2,000만원 미만인 경우 분리 과세한다."는 말 때문에 금융소득이 하나의 소득으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금융소득은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2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다만, 다른 6가지 소득과 종합하여 과세하지 않는 경우,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합쳐서 금융소득으로 분리 과세한다고 하는 것이죠. 두 소득의 개념부터 알아보도록 하죠. 이자 소득 이자소득은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받은 수입을 의미합니다. 개인 대 개인으로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경우에도 이자..

종합소득세 2022. 2. 3. 01:26

추가 정보

페이지 체류 시간

0초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절세의 신 │ tax-save.com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